물류뉴스

4월 11일 국제 물류 & 경제 뉴스 브리핑

핑핑이월드 2025. 4. 11. 21:17
728x90

4월 11일 핫뉴스 전달 드립니다~!

 

 

🚢 국제물류

1️ 중국, 미국산 수입품 관세 84% → 125%로 인상 발표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상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에 대한 보복 조치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2️ 부산항만공사, 미국 상호관세 대응 현장대응반 가동
부산항만공사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현장대응반을 구성하고, 미주 물동량 모니터링, 선석 운영 최적화, 화물처리 유연성 확대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3️ 글로벌 컨테이너 예약 49% 감소, 미국 수입 64% 급감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4 1일부터 8일까지 전 세계 컨테이너 예약이 직전 7일간보다 49% 감소했으며, 미국의 수입은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4️ 파나마 운하, 선박 통행 제한 지속아시아~미국 항로 영향
파나마 운하 관리청은 가뭄으로 인한 수위 저하로 선박 통행 제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항로에 지연이 발생하고 있으며, 물류 업계는 대체 경로를 모색 중입니다.​

 

5️ 머스크, 북미 노선 일부 선박 운항 중단 발표
세계 최대 해운사인 머스크는 미중 무역 갈등과 수요 감소로 인해 북미 노선의 일부 선박 운항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글로벌 물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국제경제

1️ 국제 유가 급락, WTI 배럴당 59.49달러 기록
4
11일 기준, WTI 원유는 배럴당 59.49달러로 4.70% 하락했으며, 브렌트유는 배럴당 62.91달러로 4.03%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 때문입니다. ​

 

2️ 금값 상승,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국내 금 시세는 4 11일 기준, 순금 1(3.75g) 637,000원으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

 

3️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2.9%로 하향 조정
국제통화기금(IMF)은 미중 무역 갈등과 글로벌 경기 둔화를 이유로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2%에서 2.9%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4️ 미국 고용지표 둔화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미 노동부는 3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10만 명 증가에 그쳤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5️ 유로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ECB 압박 커져
유로존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로 둔화되며, 유럽중앙은행(ECB)에 대한 추가 경기 부양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 사회뉴스

1️ 인천·경기 남부 미세먼지 '나쁨' 수준 예보
4
11, 인천과 경기 남부 지역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으로 예보되었습니다. 시민들은 외출 시 마스크 착용 등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2️ 양주 옥정동 땅꺼짐 발생, 인명 피해는 없어
경기도 양주 옥정동에서 3m 깊이의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으나,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지역은 현재 복구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3️ 서울 시내버스 요금 인상 검토 발표
서울시는 재정 적자 해소를 위해 시내버스 요금을 현재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시민들의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4️ 학부모 40%, "입시제도 변화 이해 어려워" 설문 결과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학부모의 40%가 최근 변화된 입시제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의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5️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400전주 대비 소폭 증가
질병관리청은 4 11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400명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주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로, 방역 당국은 지속적인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코인뉴스

1️ 비트코인, 8만 달러 지지선 붕괴관세 리스크에 하락세
비트코인 가격이 8만 달러 아래로 하락하며 1.6%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미중 관세 갈등 심화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 이더리움, 5월 초 현물 ETF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가능성
블룸버그 연구원은 이더리움 현물 ETF의 스테이킹 서비스가 5월 초 출시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는 SEC의 옵션 계약 승인에 따른 것으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3️ Onyxcoin, 24시간 만에 70% 급등투자자 관심 집중
암호화폐 Onyxcoin(XCN) 24시간 동안 약 70%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급등 원인으로는 새로운 기술 도입과 주요 거래소 상장 소식이 꼽히고 있습니다.

 

4️ 파이코인, 860원대 거래한 달 새 80% 이상 하락
파이코인(Pi Network) 860원대에서 거래되며 한 달 사이 80% 이상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유통량 증가와 투자자 신뢰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5️ 금 기반 토큰 수요 증가디지털 금이 피난처로 부상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흔들리는 가운데, 금 기반 토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토큰화된 금이 비트코인과 함께 분산 투자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식뉴스

1️ 미국 증시, 관세 갈등 심화로 급락나스닥 4.31% 하락
미국 증시는 미중 관세 갈등 심화로 인해 다우존스 2.50%, S&P500 3.46%, 나스닥 4.31% 하락하며 큰 폭의 조정을 보였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2️ 코스피 2,400선 붕괴외국인 순매도 전환
코스피 지수가 2,400선 아래로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순매도로 전환하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3️ 관세 폭탄에도 코스닥 온기내수 부양 기대감
관세 전쟁으로 인한 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은 금리 인하와 내수 부양 기대감으로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변동성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4️ '매그니피센트7' 기술주 급락시총 대폭 감소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급락하며 시가총액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관세 갈등과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 위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5️ 다음 주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예정시장 변동성 주의
다음 주부터 ASML, TSMC,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에 따른 주가 변동에 주의해야 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