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임신 중 고혈압, 그냥 넘기지 마세요”
💡 자간전증이란?
자간전증(Preeclampsia)은 임신 중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고혈압성 질환으로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주로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며 고혈압과 함께 단백뇨, 부종, 시야 흐림, 두통, 간 기능 이상 등이 동반됩니다.
📊 얼마나 흔한가요?
- 전체 임신부 중 약 5~8%가 자간전증을 경험
- 한국에서도 산모 사망 원인 중 상위권
- 조기 진단과 관리를 하지 않으면 자간(발작)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자간전증의 주요 증상
증상 | 설명 |
고혈압 | 수축기 혈압 ≥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90mmHg (2회 이상 측정 시) |
단백뇨 | 소변에서 단백질 검출 (≥ 300mg/일) |
부종 | 손, 발, 얼굴에 갑작스럽고 심한 부기 |
심한 두통 | 약을 먹어도 사라지지 않음 |
시야 이상 | 흐릿함, 빛 번짐, 시야 일부 손실 등 |
상복부 통증, 구토 | 간 기능 이상과 관련 |
특히 시야 흐림 + 상복부 통증 + 고혈압은 위급 신호입니다.
⚠️ 자간전증이 위험한 이유
- 자간(발작)으로 발전할 수 있음 → 의식 소실, 경련, 뇌손상 가능
- 태반 기능 저하 → 태아의 성장 지연, 저체중, 조산, 사망
- 산모의 간, 신장, 뇌, 폐 손상 → HELLP 증후군, 폐부종 등 중증 질환 동반 가능
🏥 치료와 관리 방법
임신 주수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집니다.
임신 주수 | 치료 방침 |
37주 이상 | 상태 따라 분만 유도가 가장 안전 |
37주 미만 | 가능한 출산 연기 + 혈압조절제, 단백뇨 및 태아 상태 모니터링 |
중증 자간전증 | 입원 치료 및 조기 분만 고려 |
자간 발작 발생 시 | 황산마그네슘 투여, 중환자실 치료 |
✅ 자간전증 고위험군 체크리스트
다음 항목에 해당한다면 임신 초기부터 정밀 관리가 필요합니다.
- 과거 자간전증 또는 자간 경험
- 첫 임신 또는 고령 임신 (35세 이상)
- 고혈압, 당뇨, 신장 질환 병력
- 다태아 임신 (쌍둥이 이상)
- 비만(BMI ≥ 30)
- 가족력 (어머니나 자매가 자간전증)
→ 고위험군일 경우 산전 진료 시 반드시 의료진에게 고지하세요!
🌿 자간전증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
- 정기적인 산전검진 절대 건너뛰지 않기
- 하루 30분 가볍게 걷는 저강도 운동
- 염분 섭취 줄이기, 수분 충분히 섭취
- 스트레스 관리 및 충분한 수면
- 체중 적정하게 유지하기
📝 마무리 : “임신 중 혈압 체크는 생명을 지키는 습관입니다”
자간전증은 단순한 ‘임신 중 고혈압’이 아니라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한 전신 질환입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정기적인 검진과 조기 진단, 그리고 적절한 대응만 있다면 대부분 안전하게 출산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임신 중 두통, 시야 이상, 부종, 복통이 나타난다면 절대 방치하지 말고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가장 좋은 예방은 “예민한 관찰과 꾸준한 관리”입니다.
300x250
'육아 및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 5] 자궁 파열 – 제왕절개 경험자라면 꼭 알아야 할 응급상황 (0) | 2025.04.05 |
---|---|
[Part 4] 태반 조기 박리 – 태아에게 산소가 끊길 수도 (0) | 2025.04.05 |
[Part 2] 산후 출혈 – 놓치면 위험한 분만 후의 함정 (1) | 2025.04.05 |
[Part 1] 양수색전증 – 갑작스러운 산모의 응급상황 (0) | 2025.04.05 |
🌙 전국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응급실 위치 알아보기! (2) | 2025.04.04 |